본문 바로가기

정보

게임 중독의 원인과 진행 과정






1. 게임 중독의 원인


심리적 요인
- 도피 심리 : 현실의 스트레스, 불안, 우울감에서
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게임을 사용
- 성취감 추구 : 현실에서 얻기 어려운 성취감과 인정을
게임에서 쉽게 얻을 수 있음
- 통제감 : 불확실한 현실과 달리 게임 속에서는
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
- 자아존중감 문제 : 낮은 자아존중감을 게임 내
성공으로 보상받으려는 심리
- 사회적 불안 : 대면 상황에서의 불안감이
온라인 소통을 선호하게 만듦



생물학적 요인
- 도파민 보상 체계 : 게임 속 보상이 뇌의 도파민
분비를 촉진하여 쾌감을 줌
- 내성 발생 :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같은 수준의
쾌감을 위해 더 많은 게임 시간이 필요
- 유전적 소인 : 중독에 취약한 유전적 요인이
게임 중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



게임 디자인 요인
- 보상 시스템 : 변동 비율 보상 스케줄(variable
ratio reward schedule)을 통한 지속적 참여 유도
- 사회적 인정 메커니즘 : 랭킹 시스템, 업적 뱃지 등을
통한 사회적 인정 욕구 자극
- 끝없는 콘텐츠 : 끝이 없는 게임 설계로 지속적 참여 유도
- 몰입형 경험 : 그래픽, 사운드, 스토리텔링을 통한
강력한 몰입감 제공
- 소셜 요소 : 길드,클랜 시스템을 통한 소속감과 의무감 형성



환경적 요인
- 접근성 증가 : 스마트폰, PC 등을 통한 게임의 높은 접근성
- 부모의 감독 부재 : 적절한 감독과 제한이 없는 환경
- 가정 문제 : 가정 내 갈등, 의사소통 부재, 지지 부족
- 대안 활동 부족 : 다른 여가 활동이나 관심사의 부재
- 또래 압력 : 친구들의 게임 참여가 사회적 동조
압력으로 작용





2. 게임 중독의 진행 과정


초기 접촉 단계
- 호기심과 탐색 : 재미와 호기심으로 게임을 시작
- 긍정적 경험 : 게임을 통한 즐거움, 성취감,
사회적 연결 경험
- 자발적 시간 투자 : 의식적으로 게임에 시간을
할애하기 시작
- 게임 실력 향상 : 게임 메커니즘 학습과 기술
향상으로 인한 성취감 증가



습관화 단계
- 정기적 게임 패턴 : 일정 시간대나 상황에서
규칙적으로 게임을 하는 패턴 형성
- 긍정적 강화 : 게임 내 보상과 성취를 통한 행동 강화
- 스트레스 해소 수단 : 스트레스나 부정적 감정
해소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
- 시간 인식 왜곡 : 게임 중 시간 가는 줄 모르는 경험 증가
- 게임 외 활동 감소 : 다른 취미나 사회적 활동에
대한 관심 감소



위험 단계
- 게임 시간 증가 : 의도했던 것보다 더 오래 게임을 하게 됨
- 자기 통제력 저하 : 게임 시간을 스스로 조절하기 어려워짐
- 일상생활 간섭 : 수면, 식사, 위생 관리 등 기본적인
생활에 영향 시작
- 게임 우선순위화 : 다른 중요한 활동보다 게임을 우선시
- 부정적 감정 증가 : 게임을 못할 때 짜증, 불안, 초조함 경험
- 게임에 대한 인지적 사로잡힘 : 게임하지 않을 때도
게임에 대해 생각



의존 단계
- 내성 발달 : 같은 만족감을 위해 더 많은 게임 시간 필요
- 금단 증상 : 게임을 못할 때 심리적, 때로는 신체적
불편함 경험
- 조절 실패 : 반복적인 조절 시도와 실패 경험
- 책임 회피 : 학업, 직장, 가정에서의 책임 회피
- 현실 도피 : 현실 문제에서 도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게임 사용
- 사회적 관계 변화 : 게임 내 관계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 재편
- 게임 관련 거짓말 : 게임 시간이나 빈도에 대해 주변인에게
속이기 시작



중독 단계
- 일상생활 붕괴 : 정상적인 일상 기능 수행 불가능
- 심각한 결과 무시 : 게임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
인지해도 행동 지속
- 신체적 영향 : 수면 부족, 불규칙한 식습관,
운동 부족으로 인한 건강 문제
- 심리적 문제 동반 : 우울, 불안, 공격성 증가,
현실-가상 구분 모호
- 사회적 고립 : 현실 세계에서의 고립과 소외 심화
- 학업/직업적 실패 : 성적 하락, 직장 업무 수행 능력 저하,
퇴학/해고 위험
- 경제적 문제 : 게임 아이템 구매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






회복 또는 악화 단계
- 문제 인식 : 자신 또는 주변인의 문제 인식을 통한 변화 가능성
- 전문적 도움 요청 : 심리 상담, 중독 치료 프로그램 참여
- 재발과 회복 : 회복 과정에서의 반복적인 재발과 극복 경험
- 만성화 : 적절한 개입 없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만성적
중독 상태로 진행
- 동반 중독 : 다른 물질이나 행위 중독과 함께 발생할 가능성

게임 중독은 단순한 의지력 부족이 아닌 복합적인
생물학적, 심리적, 사회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
발생하는 문제입니다. 따라서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
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합니다.